정부가 경구용(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확보에 나선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백신 물량 도입과 기존 중증, 경·중등증 치료제 및 경구용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한 예산 각 1조 5237억 원, 471억 원을 받는다.
2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안정적인 예방접종 실시와 방역대응 강화에 중점을 둔 올해 2차 추가경정예산 3조 6080억 원을 확보했다.
2021년 질병관리청 총지출 규모는 3조 3401억 원에서 6조 9481억 원으로 증가했다.
당초 질병청은 3조 3585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최근 확진자 급증에 따라, 국회 심사과정서 방역대응을 위한 예산이 추가돼 총 2495억 원이 증액됐다.
증액분은 코로나19로 인해 자가격리 통지서를 발부받은 입원·격리자 생활지원비 및 휴가비 지원예산 998억원, 격리입원 치료비 지원예산 600억원, 코로나19 치료제 구입 예산 471억원, 중앙 방역 비축물품 구입 예산 211억원, 사망자 장례비 지원예산 114억 원 등이다.
이번 최종 추경예산을 구분해보면, 질병청은 코로나19 백신의 신속하고 충분한 물량 확보와 도입 추진에 필요한 예산 1조 5237억 원을 확보했다.
지난 4월 추가 계약한 화이자 백신 4000 만회분의 구매비용과 내년에 도입될 국내·외 백신 계약에 필요한 선급금을 반영했다.
하반기 접종 가속화를 위한 위탁의료기관과 예방접종센터의 운영 지원비로 각각 2957억 원, 2121억 원을 확정했다.
또 방역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선별 진료소와 임시 선별 검사소 및 선제 검사 등의 코로나19 진단 검사비용 관련 예산 1조739억원을 확보했다.
자가격리 대상자에 지급할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는 각 2716억 원, 630억 원이 배정됐다.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복용 편의성과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최근 코로나 백신 물량이 충분치 않은 데다 변이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에서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개발과 도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경구용 치료제의 경우 잘 알려진 독감 치료제 ‘타미플루’처럼 먹는 약으로, 복용 편의성과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를 받고 있다.
현재 코로나 치료법은 정맥주사를 통해 약을 투입하는 방법뿐이다.
경구용 치료제는 복용이 편리하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앞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13일 국회에서 해외에서 개발 중인 먹는 치료제 예산 확보와 관련한 질문에 “변이 대응과 투약 편의성을 고려해 치료제 확보에 추가적 예산이 필요하다. 물량 확보를 현재 논의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경구용 치료제 등 확보 위한 예산 471억 원 마련 질병청은 확진자 급증에 따라 기존 중증, 경·중등증 치료제 추가 구입과 경구용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한 예산 471억 원을 마련했다.
경구용 치료제는 현재 다국적 제약사MSD(미국 법인명 : 머크)가 임상 중이다.
정부는 앞서 선구매 등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는 국내서도 먹는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말해 이번 예산이 어떤 용도인지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추경예산이 국회에서 확정됨에 따라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며 최근 4차 유행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확산 방지 등 방역 대응에 역량을 강화하고, 아울러 하반기 접종에 부족함이 없도록 백신의 안정적 수급과 원활한 예방접종이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어쨌거나 먹는 코로나 치료제를 정부에서 선구매를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하니 좋은 소식입니다.
하루라도 빨리 좋은 소식이 있기를 기다려 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탁법(鳥啄法) 건강효과는? (34) | 2021.07.30 |
---|---|
폭염에 의한 온열질환 조심! (45) | 2021.07.28 |
몸에 좋은 습관인 줄 알았는데 반전이었다? (14) | 2021.07.24 |
k-백신 언제 나오는거야? (26) | 2021.07.23 |
새치, 흰머리와는 다르다? (6) | 2021.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