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 열대야 친구 하자
열대야란?
하루 최고 기온이 30℃ 이상인 한여름 기간에 야간에도 최저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아 마치 열대지방의 밤처럼 잠들기 어려운 여름밤을 가리킨다. 낮 시간 동안 태양열에 의해 달궈진 땅의 수분은 수증기로 변모하는데, 이 열기가 밤 시간에도 그대로 남아 고온다습한 날씨를 유지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장마 후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했을 때 나타난다. 공기의 흐름이 원활한 해안지방보다는 내륙지방이, 시골보다는 도시에서 더 자주 일어난다. 사람이 숙면을 취하기에 적당한 온도는 18∼20℃로 밤에도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체온 조절 중추신경계가 각성상태가 되어 잠을 이루기 어렵다. 때문에 한여름철의 더위를 나타내는 기후 지표로 자주 사용된다.
벌써 폭염 주의보가 내리고 무더운 여름이 다가왔다. 한 여름 무더위에 괴로운 열대야, 밤새 에어컨을 계속 켤 수도 없고 끌 수도 없는 상황에 밤 잠을 설치는 건 여전하다. 열대야로 인한 불면증이 계속되면 피로 누적, 두통, 집중력 저하, 식욕 부진 등의 열대야 증후군으로 고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대야를 퇴치해야 꿀잠을 잘 수 있다.
열대야를 극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카페인과 알코올이 들어 있는 음료나 음주를 피한다.
2. 자고 일어나는 시각을 일정하게 한다.
3. 밤에 잠을 설쳤다고 낮잠을 지나치게 자지 않는 것이 좋고 정 필요하면 30분 내외로 한다.
4. 잠이 잘 오지 않으면 뒤척이지 말고 잠자리에서 벗어나 집중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가벼운 독서를 하다가 다시 잠이 오면 잠자리에 든다. 잠이 들지 않으면 이런 행동을 반복해도 좋다.
5. 자기 2시간 전에는 지나치게 심한 운동은 삼가고 운동은 이른 저녁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
6. 마찬가지로 잠자기 전 지나치게 집중하는 작업도 피하는 것이 좋다.
7. 잠자리에 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고 우유를 한 잔 먹어 공복감을 없애는 것이 수면에 도움이 된다.
8. 덥다고 저녁 시간에 물을 많이 마시거나 수박 같은 과일을 많이 먹으면 수면 중 소변 때문에 잠을 깨기 쉬우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9. 잠자기에 적절하고 쾌적하게 느끼는 방 온도는 섭씨 20도 정도이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담요나 이불을 덮는 습관에 따라 다르므로 냉방기를 일률적으로 맞추어 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10. 선풍기를 틀 때도 수면 시작 1~2시간만 몸에서 멀리 떼어 놓고 가동하는 것이 좋다. 지나치게 오랜 시간 밀폐된 공간에서 선풍기를 쐬면 저체온증에 빠져 생명의 위험을 초래하기도 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은 습관인 줄 알았는데 반전이었다? (14) | 2021.07.24 |
---|---|
k-백신 언제 나오는거야? (26) | 2021.07.23 |
새치, 흰머리와는 다르다? (6) | 2021.07.17 |
왜 여름에 몸이 더 잘 부을까 (5) | 2021.07.17 |
마스크와 자외선 차단의 관계 (4) | 2021.07.13 |
댓글